이 글은 특정 구현에 종속되는 내용을 제외한 이론 위주의 정리 글입니다. Redis Persistence Redis는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장애 발생 시 복구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영속화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. Redis 데이터 영속화는 관리하는 비즈니스 데이터의 성향과 중요도에 따라 사용하거나, 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AOF의 Always 전략 등을 사용하는 행위는 Redis의 성능 하락과 응답 지연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잘 고려하여야 합니다. 영속화를 사용하는 경우 Redis Server의 서비스 중단을 방지하기 위해 Child Background Process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며, Process fork로 인한 메모리 사용량, 발생하는 Disk I/O 빈도와..
Programming
2022. 2. 14. 12:27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URN
- URI
- JPA
- 게으른개발자컨퍼런스
- WiredTiger
- mybatis
- cache stampede
- lambda
- spring
- AMQP
- RPC
- JVM
- Request Collapsing
- 근황
- java
- 한국 스프링 사용자 모임
- spring AOP
- Thundering Herd
- Redis Key
- Optimistic Locking
- transaction
- 커뮤니티 오거나이저
- JDK Dynamic Proxy
- cglib
- rabbitmq
- Url
- HTTP
- RESTful
- configuration
- Switch
| 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||||||
| 2 | 3 | 4 | 5 | 6 | 7 | 8 |
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 29 |
| 30 |
글 보관함
